제창수

제창수

재직중

AI 요약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제창수 교수님의 공식 프로필 정보입니다. 본 페이지는 제창수 교수님의 소속 학과 및 공식 웹사이트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연구 분야, 학력, 경력 등 상세 정보는 확인되는 대로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제창수 교수님의 기본 정보를 확인하십시오.

제창수 썸네일

제창수

교수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소속서강대학교
부서 학과전자공학과
직책교수
이메일vision@sogang.ac.kr

경력정보

11개월
1995.01.01 ~ 1995.12.31

USC Signal & Image Processing Institute

Visiting Researcher

2년 11개월
1995.01.01 ~ 1997.12.31

Samsung Electronics

Senior Research Engineer

28년 8개월
1997.01.01 ~ 재직중

Sogang University

Assistant/Associate/Full Professor

중요 키워드

머신러닝딥러닝이상행동탐지객체인식영상인식음성인식인공지능컴퓨터비전패턴인식이미지처리얼굴인식다중객체추적신호처리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분야] Image and voice recognition

학력

USC 전자공학 박사 (1995) 서강대학교 전자공학 석사 (1989) 서강대학교 전자공학 학사 (1987)

보유 기술

영역 분할 없이! 단일 영상 반사성분 정밀 분리 개발 썸네일
디지털신호

영역 분할 없이! 단일 영상 반사성분 정밀 분리 개발

가격 협의

기존 영상 처리 기술은 단일 영상에서 반사 성분을 정확히 분리하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특히, 경면반사로 인한 광휘(highlight)는 객체 인식 및 표면 특성 분석을 저해하며, 기존 방법들은 특정 색상 처리의 어려움, 잡음 취약성, 그리고 이미지 분할 의존성 등의 문제점을 가졌습니다. 본 기술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BREN(Body Reflection Essence-Neuter) 모델'이라는 혁신적인 반사 컬러 모델을 제안합니다. 이 모델은 단일 영상에서 체반사(body reflection) 성분만을 포함하는 '체정분'을 활용하여 이색성 반사 성분을 정밀하게 분리합니다. 기존 방식의 단점인 문턱치 연산 대신 가우시안 함수를 적용하여 잡음에 강인하고, RGB뿐만 아니라 CMY 계열 색상에도 효과적입니다. 또한, 별도의 영역 분할 과정이 필요 없어 이미지 처리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이를 통해 경면반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원본 영상에서 광휘가 제거된 고품질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본 기술은 컴퓨터 비전, 이미지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여 더욱 정확한 시각 정보 분석을 가능하게 합니다.

BREN 모델가우시안 함수객체 인식경면반사 제거광휘 제거 기술